티스토리 뷰
PER (Price-Earning Ratio ; 주가수익률)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용어 중 가장 흔하게 들을 수 있는 것 중 하나입니다. 많이 들어는 보았지만 명쾌히 설명은 안 되는 그런 용어입니다. 한국말로는 주가수익률입니다. 주가를 수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PER의 정의
주가수익률(PER ; Price-Earning Ratio)은 주식 투자에서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는 주식 시장에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고 투자의 유효성을 측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도구 중 하나입니다. PER은 주가를 기업의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로, 투자자들에게 기업의 가치와 수익성에 대한 일정 부분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2. PER 개념과 응용
1). 개념
PER의 기본 개념을 살펴보겠습니다. PER은 주가와 기업의 주당 순이익 사이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에코프로 주가가 현재 300만원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주당 순이익이 15만 원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러면 PER은 어떻게 될까요?
PER = 3,000,000 / 150,000 = 20 입니다.
즉, PER이 20입니다. 이 PER은 기업이 현재의 주가에 대해 얼마나 수익을 내고 있는지를 알려줍니다.
PER이 낮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수익을 많이 내는 기업이라는 뜻입니다. 반대로 PER이 높다는 것은 수익을 많이 못 낸다는 의미입니다.
2). PER을 이용한 수익비교
PER이 주식 시장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PER은 특정 기업이 비교 대상 기업들과 어떻게 비교되는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PER은 투자자들이 향후 수익을 예측하고 기업 간의 상대적 가치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도구입니다.
예를 들어, 유사한 섹터의 경쟁기업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비교결과 아래와 같은 데이터가 수집되었다고 해 보겠습니다.
기업 | 현재주가 | 주당순이익 | PER |
똘똘상사 | 120,000 | 2,000 | 60 |
팔팔상사 | 12,000 | 2,000 | 6 |
고고상사 | 6,000 | 2,000 | 3 |
PER 계산결과를 보시면 어느 기업이 돈을 잘 벌고 있는지 확인됩니다. 고고상사가 제일 많이 벌고 있습니다. 무려 PER 이 3입니다. 3년 후에는 투자원금이 회수되는 엄청난 수익률입니다. 현실적이지는 않지만 비교하자면 그렇습니다.
이런 식으로 기업 간 수익률을 상대비교를 할 수가 있습니다.
3). 투자결정과 PER
PER이 투자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투자자들은 기업의 PER을 통해 해당 기업의 성장 가능성 및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PER은 시장의 전반적인 트렌드와 경제 상황을 고려하여 투자 포트폴리오를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렇다면, 무조건 PER이 낮아야 할까요? 이 부분은 정답이 없습니다. 단순히 PER만 읽어서 투자를 결정하기 어렵습니다.
왜냐면, 공유되는 데이터상의 PER 은 모두 지나간 과거의 데이터로 읽어낸 숫자입니다.
또, PER의 낮아 수익이 많은 기업이라 할지라도 주식이 올라간다는 보장은 할 수 없습니다. 즉, 투자를 하고도 투자수익이 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사례 하나를 보면, KB금융은 PER이 4.49로 상당한 수익을 내는 기업입니다. 그런데, 주가가 올라야 투자자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주가는 박스권에서 맴돌고 있습니다.
반대로, 그럼 PER이 높아야 하는가? 성장기업은 PER이 매우 높습니다. 미래의 가치를 당겨와 선반영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무조건 PER이 높은 기업 중에서 골라 투자하면 되는가? 이것도 상시 적용 가능한 조건이 아닙니다.
아래 종목을 보면 PER 143.53입니다. 투자원금을 회수하려면 143년이 걸린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주가가 오르고 있으니 연초에 투자를 한 경우는 잘 들어갔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매출은 너무 작고 적자를 내고 있는 기업이라 주가는 올라도 선뜻 투자를 결정하기 어렵습니다. (주의. 종목추천 아님) 어떻게 될지 알 수 없습니다.
정답은 없지만, PER은 보조 주식지표로 보시는 것이 타당합니다.
PER외의 주요한 다른 지표들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아래 링크)
중요한 포인트는
1. 기업이 성장하는 중인가? 이익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성장하는 기업이어야 좋습니다.
2. 경쟁력이 있는가? 경쟁업체 대비 해자가 있는 기업이 좋습니다. 기술적 우위를 점유하고 지속할 수 있는 기업이 좋다는 뜻입니다.
3. 성장세와 경쟁력을 기반으로 향후 시장에서의 잠재적 포지션과 방향성이 어느 정도 예상이 되어야 좋습니다.
4. 훌륭한 경영자가 이끌고 있는가? 위 모두가 다 좋아도 경영자가 받쳐주지 못하면 그 기업은 오래갈 수 없습니다.
위의 조건이 필수적으로 갖춰진 상태에서 PER 지표를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결론
이 포스팅을 통해 PER의 개념과 활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PER은 투자자들에게 기업을 평가하고 비교하는 데 도움이 되는 보조지표로, 신중한 분석과 함께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투자를 고려할 때는 PER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미래의 투자 성과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경제와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가총액과 주가의 의미 (4) | 2023.12.11 |
---|---|
EPS(주당순이익) 알아보기 (1) | 2023.12.06 |
공매도 제도개선 진행현황 알아보기(2023년 10월) (4) | 2023.10.28 |
ETF가 뭐예요? (4) | 2023.10.18 |
MSCI지수 알아보기 (2) | 2023.10.17 |